미세먼지의 증가에 따라 공기의 질에 대한 관심이 몇년전부터 부쩍 늘어났습니다. 자연스레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 역시 늘어났는데요.
수많은 브랜드와 제품 중에서 정작 어떤 것이 가장 효율적인 제품인지는 참 헷갈립니다. 성능은 비슷한거 같은데 기능과 가격도 천차만별이고요.
마침 오늘(2022.10.25) 한국소비자원에서 주요 공기청정기 8개 제품을 시험, 평가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미세먼지 제거성능은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을 충족했으나 제품별로 주요 성능에 차이가 있었고, 구입가격은 최대 6배, 연간 유지관리 비용도 최대 약 2배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과연 성능도 그만큼 차이가 날까요?
아래 표는 한국소비자원에서 실시한 공기청정기 시험, 평가 대상 제품입니다. 지금부터 한국소비자원에서 발표한 보도자료를 통해 주요 평가 항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표준사용면적(미세먼지 제거성능),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 충족
표준사용면적은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표시값의 90% 이상)을 충족했고, 제품별로 51.5m2 ~ 85.2m2 범위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유해가스 제거·탈취효율은 6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
새집증후군 유발물질인 폼알데하이드·톨루엔, 3대 생활악취의 원인이 되는 암모니아·아세트알데하이드·초산 등 5개 가스의 제거율을 확인한 결과, 6개 제품이 평균87%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우수’했다고 합니다.
자동모드 미세먼지 제거성능, 6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해
소비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동모드 설정에서 고농도의 미세먼지(지름 0.3㎛)가 보통 수준으로 낮아질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 결과, 6개 제품이 9분이내로 상대적으로 ‘우수’했다고 합니다.
소음,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 충족해
정격풍량(최대풍량)으로 운전 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한 결과, 모든 제품이55dB(A) 이하로 관련 기준을 충족했고, 제품별로는 표준사용면적이 가장 작은 샤오미 제품이 46dB(A), 나머지 7개 제품은 49dB(A) ~ 53dB(A) 범위수준이었습니다. 소음은 8개 제품이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전성 및 표시사항,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 충족해
안전성의 경우 구조, 누전·감전 등의 전기적 안전성, 오존 발생량은 모든 제품이 안전기준 충족했고, 모든 제품의 필터에서 유해성분이 불검출됐습니다. 에너지소비효율등급라벨 표시의 정확성 및 의무표시사항 확인 결과,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고 합니다.
연간 유지관리 비용(전기요금 및 필터교체 비용), 제품 간 최대 약 2배 차이 있어
제품별 에너지 비용은 공기청정기를 정격풍량(최대풍량)으로 작동 시 발생하는 제품별연간 전기요금은 표준사용면적이 가장 작은 샤오미 제품이 14,000원으로가장 저렴했고, 위니아 제품은 26,000원으로 가장 비싸 최대 약 1.9배 차이가 있었습니다.
단위 면적당 에너지 비용은 위닉스 제품이 1㎡당 연간 193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위니아 제품은 305원으로 가장 비쌌습니다.
제품별로 필터 권장교체주기는 최소 6개월 ~ 최대 14개월로 차이가 있었으며 1년마다 교체할 경우, 쿠쿠 제품이 54,200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SK매직 제품은 120,000원으로 가장 비싸 최대 2.2배 차이가 있었습니다.
8개 제품 종합평가 결과는?
8개 공기청정기의 성능과 가격, 유지비용, 편의사항 등을 종합평가 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제품마다 여러가지 측면에서 작은 차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로 평균치를 하고 있지만, 평균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제품도 있는거 같습니다.
공기청정기 구매, 가성비와 성능 잘 따져봐야
제가 몇 년전 첫 공기청정기를 구매할때는 가성비를 따져 샤오미 제품을 구매했었습니다. 자잘한 기능보다 필터의 성능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필터를 교체할때 우수한 기능이지만 저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가성비 제품이 샤오미라고 봤습니다. 단, 샤오미 초기 제품이라 별다른 기능들은 없습니다.
최근에 들인 제품은 삼성 비스포크 큐브에어 입니다. 최신 제품인 만큼 디자인도 뛰어나고 IOT기능도 있어서 스마트폰 앱으로 언제 어디서든 가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같은 제품은 아니지만 이번 소비자원 평가에서도 삼성 공기청정기가 다행히 좋은 평가를 받았네요.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기 질'을 좌우할수 있는 필수 제품입니다.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새집증후군과 각종 유해가스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가전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한국소비자원 평가 결과에서도 드러났듯이, 제품마다 가격과 성능 등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의 건강을 좌우할 수 있는 가전제품인만큼 신중하게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오늘 올린 한국소비자원의 8개 공기청정기 제품 종합 평가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자료 출처 - 한국소비자원 보도자료 <공기청정기, 유해가스 제거·탈취효율 등 주요 성능에 차이 있어>, 221025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흥민 안면골절 수술, 월드컵 출전 가능할까? (4) | 2022.11.03 |
---|---|
112 신고 접수 녹취록 전문 - 이태원 참사, 모두가 살 수 있었다 (5) | 2022.11.02 |
이태원 할로윈 참사 "할 일은 다 했다"는 용산구청장 (6) | 2022.10.31 |
이태원 참사, 해외 주요 언론 반응 (2) | 2022.10.31 |
한국은행 총재 발언, 명쾌한 요약 버전 (2022.10.12) (0) | 2022.10.13 |
댓글